어린 아이의 사타구니에 갑자기 불룩 튀어나오는 덩어리가 평소와 달리 만져진다면 서혜부 탈장을 의심해야 합니다. 서혜부 탈장은 어린아이가 울거나 보챌 때 또는 심하게 운동을 하였을 때 사타구니로 나오게 됩니다. 그러나 아이가 다시 안정을 취하며 누워있거나 잠을 잘 때는 다시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탈장은 통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 스스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래서 어린아이의 경우는 엄마가 목욕을 시키거나 기저귀를 갈아주다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탈장의 주된 증상은 사타구니에 불룩 튀어나오는 물렁물렁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입니다. 서혜부 탈장이 일어나는 원인과 진단. 임신 초기에 남자아기의 고환은 배 안에 위치하고 있다가 임신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음낭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이 때 복강을 감싸는 복막이 고환을 따라 내려와서 음낭에서 칼집모양으로 끝을 맺습니다. 이러한 것을 칼집돌기라고 하는데 정상적으로는 막혀서 없어져야 하지만 막히지 않는 상태로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막히지 않은 칼집돌기는 아이가 심하게 울거나 운동할 때 복압이 증가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서 칼집돌기가 늘어나 주머니 모양을 만들고 이 주머니에 복강 내 장기가 내려오면 탈장이 일어나게 됩니다. 여자아기의 경우도 고환과 유사한 구조가 있어서 남자아기와 비슷한 원인으로 탈장이 생기게 됩니다. 탈장을 진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위에서 설명한 증상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대부분의 어린 아이는 탈장으로 진단됩니다. 병원에서는 진찰을 하면서 탈장을 확인하거나 탈장을 유발시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더 이상의 진단을 위한 검사는 필요가 없습니다 서혜부 탈장의 치료 소아에게 일어난 서혜부 탈장은 대부분 수술을 요하는 질병입니다. 수술 시기도 연령에 상관없이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부에서는 탈장이 있더라도 돌 이후에 수술하라고 권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것은 잘못된 지식입니다. 소아에게 서혜부 탈장을 발견되면 즉시 수술하는 이유는 탈장이 저절로 치유되는 경우가 없고 방치하면 감돈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돈 탈장이란 장이나 복강 내 장기가 탈장 내로 내려왔다가 다시 복강 내로 돌아가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콜라병에 손가락을 넣을 때는 잘 들어가지만 다시 뺄 때는 잘 빠지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이 상태에서 방치되면 장이 썩을 수 있고 매우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감돈 탈장은 만 1세 이하에서 잘 발생하기 때문에 연령이 어리다고 수술을 미루어서는 안됩니다 소아 수술과 전신마취 어린 아이의 수술에는 기본적으로 전신마취가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수술 자체가 전신마취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소아는 국소마취 및 수술 자체에 대해 견디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수술이나 전신마취는 당연히 안 하는 것이 좋을 것이나 전신마취를 한다고 해서 환자의 머리가 나빠진다거나 하는 이야기도 전혀 근거가 없는 낭설입니다. 전신 마취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기침 가래 등의 간단한 감기 증상에서부터 심한 경우 폐렴까지 호흡기 계통의 문제가 가장 많습니다. 그 외의 심한 합병증은 매우 드뭅니다.
|
|